ChatGPT에서 새로운beta 서비스가 오픈했다. 

* Code Interpreter 

* 써봤다.

※ 주의 ChatGPT 4 이용시에만 사용할 수 있다.

 

** 먼저 Code Interpreter** 가 뭔지 알아보자. (물론 ChatGPT에게)

코드 인터프리터는 고수준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스 코드를 읽고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입력으로 받은 코드를 즉시 실행하며, 코드를 먼저 기계어로 컴파일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를 한 줄씩 또는 한 블록씩 읽어 나갑니다. 인터프리터는 주로 대화형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사용되며, 스크립트 언어(Python, JavaScript, Ruby 등)의 실행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인터프리터의 장점은 코드를 수정하고 결과를 즉시 볼 수 있기 때문에 개발과 디버깅이 빠르다는 것입니다. 반면, 인터프리터의 단점은 컴파일러가 미리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컴파일된 코드보다 느리게 실행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최신의 Just-In-Time(JIT) 컴파일 기술을 이용하는 언어들은 이런 성능 차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Python의 PyPy 인터프리터나 JavaScript의 V8 엔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그럼 이번에 beta 오픈한  ChatGpt의 Code Interpreter는 뭘 할수 있을까?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ChatGPT를 활용해 Python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는 버전을 사용해보세요. 파일 업로드도 가능합니다. 
데이터 분석, 이미지 변환, 코드 파일 편집 등에 대한 도움을 요청해보세요. 참고로, 파일은 단일 세션 동안에만 유지됩니다.

이렇게 활용하면 ChatGPT는 단순히 대화를 생성하고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서, 사용자가 원하는 코드를 작성하고 이를 실행하며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는 코드를 실제로 실행하는 환경과 연결되어 있어야 가능합니다.

또한, 파일 업로드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제공한 데이터 파일을 분석하거나, 이미지 파일을 변환하거나, 코드 파일을 편집하는 등의 작업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파일은 단일 세션 동안에만 유지되므로, 중요한 파일은 별도로 저장해 두어야 합니다.

 

그럼 이넘으로 뭘 할수 있을까?

 

* 데이터 분석, 이미지 변환, 코드 파일 편집 등 ➲➲➲ 이런걸 해줄수 있다.

 

그래서 한번 예제 데이터셋 7개의 CSV를 업로드해서 한번에 분석을 요청해 봤다.

 

1. 데이터셋 csv 업로드 (한번에 하나, 그러나 여러개 업로드 가능)

 

업로드하신 `orders_details.csv`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 Load the seventh CSV file
orders_details = pd.read_csv('/mnt/data/orders_details.csv')

orders_details.head()
result
   orderid  productid  unitprice  quantity  discount
0    10248         11       14.0        12       0.0
1    10248         42        9.8        10       0.0
2    10248         72       34.8         5       0.0
3    10249         14       18.6         9       0.0
4    10249         51       42.4        40       0.0
   orderid  productid  unitprice  quantity  discount
0    10248         11       14.0        12       0.0
1    10248         42        9.8        10       0.0
2    10248         72       34.8         5       0.0
3    10249         14       18.6         9       0.0
4    10249         51       42.4        40       0.0
```

여기서 각 컬럼은 다음을 의미합니다:
- `orderid`: 주문의 고유 ID
- `productid`: 제품의 고유 ID
- `unitprice`: 단위당 가격
- `quantity`: 주문 수량
- `discount`: 할인율

이 데이터를 통해 어떤 분석을 진행하고 싶으신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제품별 판매 추이 분석, 할인율에 따른 판매량 분석, 주문별 판매액 분석 등 다양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이 점을 참고하여 분석 요청을 구체화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올린 CSV에 대하여 설명도 해준다 (와우! 👏)

 

2. 모든 제품의 판매 추이를 한 번에 그리고 특정 시간 범위(예: 월별, 분기별, 연도별 등)에 대한 판매 추이를 물어보았다.

(다른 분석도 요청해보니 ...)

모든 제품의 판매 추이를 한 번에 보여주는 것은 시각적으로 복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별 판매량을 합산하여 시간에 따른 전체 판매 추이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또한 월별, 분기별, 연도별 판매 추이를 각각 보여드리겠습니다. 

먼저, 월별 판매 추이부터 분석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주문 날짜를 해당 월의 첫 날로 설정한 새로운 열을 만들고, 이 열에 따라 판매량을 합산하겠습니다.
# Create a new column with the first day of the corresponding month
sales_trend['order_month'] = sales_trend['orderdate'].dt.to_period('M')

# Group by the new column and sum the quantity
monthly_sales = sales_trend.groupby('order_month').sum()['quantity'].reset_index()

# Convert the 'order_month' back to datetime format for plotting
monthly_sales['order_month'] = monthly_sales['order_month'].dt.to_timestamp()

# Check the result
monthly_sales.head()
RESULT
  order_month  quantity
0  1996-07-01      1462
1  1996-08-01      1322
2  1996-09-01      1124
3  1996-10-01      1738
4  1996-11-01      1735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Plot the monthly sales
plt.figure(figsize=(12, 6))
plt.plot(monthly_sales['order_month'], monthly_sales['quantity'])
plt.title('Monthly Sales Trend')
plt.xlabel('Month')
plt.ylabel('Total Quantity Sold')
plt.grid(True)
plt.show()


위의 그래프는 월별 판매 추이를 나타냅니다. x축은 월을, y축은 해당 월에 판매된 총 제품 수를 나타냅니다. 그래프를 통해 일정한 패턴이나 추세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분기별 판매 추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주문 날짜를 해당 분기의 첫 날로 설정한 새로운 열을 만들고, 이 열에 따라 판매량을 합산하겠습니다.
- 복사하기 귀찮다. 위의 분석을 분기별로 표시

위의 그래프는 분기별 판매 추이를 나타냅니다. x축은 분기를, y축은 해당 분기에 판매된 총 제품 수를 나타냅니다. 그래프를 통해 일정한 패턴이나 추세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연도별 판매 추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주문 날짜를 해당 연도의 첫 날로 설정한 새로운 열을 만들고, 이 열에 따라 판매량을 합산하겠습니다.
- 마찬가지로 분석을 연도별로 표시

위의 그래프는 연도별 판매 추이를 나타냅니다. x축은 연도를, y축은 해당 연도에 판매된 총 제품 수를 나타냅니다. 

그래프를 통해 1996년에서 1997년 사이에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1998년에는 판매량이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실제 판매가 감소했을 수도 있지만, 데이터가 1998년까지만 포함되어 있어 전체 연도의 데이터가 없는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판매 추이를 이해하고, 향후 판매량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분석이 필요하시면 알려주세요.

 

3.  분석에 대한 데이터셋이 테스트 용이라 분석결과가 매우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일단 Python / R 등으로 모르지만 데이터 셋을 가지고 분석이란 것을 해서 설명을 듣고 싶다면 오~~~~

 

- 그렇다면, 사용해봐도 ...

 

* Tip

 

- 코드를 주고 설명이나 최적화나 기타 등등 도 쓸만하다.

- Json 을 CSV로 바꿔 달라니까, 잘 바꿔준다.

- 하지만 한줄로 만들어 준다. 

- 이쁘게 바꿔 달라니까 만족할 만큼 정렬해준다. 🙌

이제 이런 변경은 그냥 ChatGPT 시키면 바로 끝!!

beta가 이정도면 음.. 슬슬 무섭다. 😱

 

참고로,
beta는 ChatGPT 접속 👉 왼쪽 맨아래 내 아이디 ... 👉 ⚙︎ 세팅 & 베타 👉 ⚗️beta 기능 👉 Code Interpreter 활성화 후 GPT4 Plug in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됨.

 

Github CoPilot 사용 중인데 뭐가 더 무서운지 테스트 해봐야지 음 ~ 🎃👹🤡💩👻💀☠️👽👺🙀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

* 맥에서 메일을 보낼 때 한글 파일을 첨부하면 windows에서 파일명이 자소가 분리돼서 저장된다.

- 해결 방법

💻

간단하다.

메일 프로그램을 outlook을 사용하면 된다.

단, Outlook 프로그램이 신버전이 아닌 이전 버전의 Outlook 이다.

아래는 내가 사용하는 버전의 outlook이다.

신버전을 사용 시에는 물론 깨진다.

새로운 아웃룩이 좋긴 한데 결국 파일 첨부 때문에 못 넘어가고 있다.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

# 맥북 과 ipad 키보드 마우스 공유 문제 해결 (Sonoma 14.0 Beta, iPad Os 17 beta2)

 

# iPad OS 17 beat2로 업글 후 Mac OS Ventura 13.5 beta에서 iPad와 화면은 공유가 되는데 키보드와 마우스 공유가 안먹는 현상이 발생함

 

# Apple game porting toolkit 을 windows 겜 좀 돌리겠다는 맘으로 설치하다가 결국 Mac OS Sonoma 14.0 Beta로 올렸는데 자연스럽게 해결 (뭐냐고!)

# 결론 : Beta 특히 Developer Beta는 Test 하지말자.

- 맘만 상한다.

- 심신이 피곤하다.

 

# 잘 사용중!!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

# 이전 포스팅에서 game porting toolkit을 macbook pro에 설치해서 베틀넷과 스팀을 구동해봤음
아래 참고
- https://brainchaos.tistory.com/515

# 디아블로 4를 구매 안한 관계로🕹️
Cyberpunk 2077 을 스팀에서 돌려봄

# 아래 youtube 로 동영상 올림

- https://youtu.be/5HY8hnFXybw

😈디아를 사야 하나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

들어가기 전에 진짜 설치 장난아님 (내가 병신인가?)

- 많은 시행 착오를 거쳐 성공한 부분을 이래저래 적음

- 어려운분들은 그냥 whisky 받아서 하시는 것을 추천!!

- Whisky로 진행 하는 법은 담에 시간 되면 올릴듯?

# apple game porting toolkit install START!!!!!!!

 

# 조건 

M1 sillicon 이상

ventura 13.4 이상

 

 

# 설치 환경

macbook pro 14 (21년)

m1 pro

16G

ventura 13.5 실패

sonoma 14.0 Beta (23A5257q) 성공

 

# 한번에 된 분들 존경 (제길)

 

- 10번을 넘게 깔고 지우고 테스트를 하면서 드디어 성공!!

- 베틀넷은 로그인 후 화면이 까만 화면만 나옴 (해결)

 

- 이 모든것은 하나의 원인때문

-> Macbook pro Language setting

ENGLISH!!!!!!

뭐 한글로 되시분들 그저 존경!!

 

- 리부팅 후  

- game-porting-toolkit brew uninstall 한 후

 

- 전과정 재설치

 

- 배틀넷 로그인 성공

- Diablo IV 를 안사서 게임 실행 못함 (ㅡㅡ)

- 참고로 배틀넷 런처 개 느림

  미치도록 느림 안하고 말지 제길

 

- Steam 로그인 성공

- 로그인 방법은 아래 참조

- 빠름 

- 게임 설치는 집에 가서 (사실 업무중에 이거 하고 있었음)

 

# 아래 설치 순서를 그대로 따라 하면 됨

# Ventura 13.4 이상에서도 영문으로만 바꾸면 될것 같음

# 괜히 sonoma 14 beta 업글해서 안도는 앱만 많아짐. ㅡㅡ;

 

# 반드시 영문으로 하는게 정신 건강에 좋음 (한글은 계속 실패함 - 성공하신분은 용자)

 

시작합니다.
1. xcode 15 베타 설치
- Command Line Tool 만 설치 해도 된다는데 이미 난 Xcode를 이전 버전을 개발 때문에 설치해서 아래 Xcode Select 가 다르게 나와서 Xcode 15 beta 도 설치함

- 이건 반드시 설치해야 함!!
- Install Command Line Tools for Xcode 15 Beta
https://developer.apple.com/download/all/

- 확인 
xcode-select -p
-> /Applications/Xcode-beta.app/Contents/Developer
이렇게 나와야 함

- 다르게 나오면 아래 명령어 실행 (단  Xcode 15 beta 설치해야 함)
xcode-select -s /Applications/Xcode-beta.app/Contents/Developer


2. GPT (Game Porting Toolkit) 다운로드 (Download 폴더로)
https://developer.apple.com/download/all/?q=game%20porting%20toolkit

3. rosetta 설치
softwareupdate --install-rosetta

- 만약, xcode license 요청 시
sudo xcodebuild -license

4. x86으로 진행
arch -x86_64 zsh

5. brew 설치 (한줄 명령어임)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 brew 위치가 아래 처럼 나오면 안됨
which brew
   /opt/homebrew/bin/brew

- 이렇게 나와야 함
   /usr/local/bin/brew

- 만약 /usr/local/bin/brew 로 안나오면 
- 아래 실행
- 3개중 하나 

(echo; echo 'eval "$(/usr/local/bin/brew shellenv)"') >> /Users/$USER/.zprofile 
eval "$(/usr/local/bin/brew shellenv)"

export PATH="/usr/local/bin:${PATH}"

echo 'export PATH="/usr/local/bin:$PATH"' >> ~/.zshrc
source .zshrc

- 다시 
which brew
   /usr/local/bin/brew

- 위와 같이 나오면 성공

- 확인을 위한 거로 안해도 됨
brew doctor
brew cleanup

- Permission 이슈 발생 하면 아래 수행
sudo chown -R $(whoami) /usr/local/share/zsh /usr/local/share/zsh/site-functions

- 그냥 따라서 실행
brew tap apple/apple http://github.com/apple/homebrew-apple

- 인스톨 
- macbook M1 Pro 기준 58분 걸림
brew -v install apple/apple/game-porting-toolkit


6. windows 환경 설정
WINEPREFIX=~/my-game-prefix `brew --prefix game-porting-toolkit`/bin/wine64 winecfg

- 설정 창 뜨면 windows10 선택 후 적용 -> 닫기

7. 실행
ditto /Volumes/Game\ Porting\ Toolkit-1.0/lib/ `brew --prefix game-porting-toolkit`/lib/

8. gameportingtoolkit 명령어 실행을 위한 bin에 copy
cp /Volumes/Game\ Porting\ Toolkit-1.0/gameportingtoolkit* /usr/local/bin

9. 게임 *.exe 실행시 아래 명령어 형식으로 하면 됨 (참고하라고!!)
gameportingtoolkit ~/my-game-prefix 'C:\\Program Files\\MyGame\\MyGame.exe'

10. 베틀넷 실행을 위한 설정
- 실행

`brew --prefix game-porting-toolkit`/bin/wine64 reg add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v CurrentBuild /t REG_SZ /d 19042 /f

`brew --prefix game-porting-toolkit`/bin/wine64 reg add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v CurrentBuildNumber /t REG_SZ /d 19042 /f

`brew --prefix game-porting-toolkit`/bin/wineserver -k

- 베틀넷 설치 Download
https://www.blizzard.com/download/

- Download 잘됬는지 확인 (Battle.net-Setup.exe 화일이 다운로드 폴더에 있냐?)
ls ~/my-game-prefix/drive_c/users/crossover/Downloads/

- Battle.net-Setup.exe 실행
- 반드시 영문으로 설치
- 엄청 오래 기다림 장난아니게 오래 걸림 (업데이트 설치 그리고 베틀넷 로그인까지 30분 ?? 이상 걸림 - 나만 그런가?)
gameportingtoolkit ~/my-game-prefix ~/my-game-prefix/drive_c/users/crossover/Downloads/Battle.net-Setup.exe

- 나중에 설치 하고 나서 따로 베틀넷만 실행 할라면 아래 실행
arch -x86_64 gameportingtoolkit ~/my-game-prefix 'C:\Program Files (x86)\Battle.net\Battle.net Launcher.exe'

- 이건 디아블로 4 깔고 디아블로 4만 따로 실행 (게임 안사서 안해봄)
PATH="/usr/local/bin:${PATH}" arch -x86_64 /usr/local/bin/gameportingtoolkit-no-hud ~/my-game-prefix   ~/my-game-prefix/drive_c/Program\ Files\ \(x86\)/Diablo\ IV/Diablo\ IV\ Launcher.exe

- 베틀넷 로그인 오래 걸림 주의
- shortcut 은 아래 참조 사이트 확인 (정말 많이 돌아다니며 참조함 그중 대표!! 사이트)

https://www.applegamingwiki.com/wiki/Game_Porting_Toolkit#Battle.net

https://www.outcoldman.com/en/archive/2023/06/07/playing-diablo-4-on-macos/#prepare-diablo-iv

https://twitter.com/0xggoma/status/1666735298758475781

- alias로 만들기
alias d4='arch -x86_64 zsh -c "eval \"$(/usr/local/bin/brew shellenv)\"; /usr/local/Cellar/game-porting-toolkit/1.0/gameportingtoolkit-no-hud ~/\"C:\\Program Files (x86)\\Diablo IV\\Diablo IV Launcher.exe\" &"'


- 혹시 몰라서 wineserver 죽이기 (행걸렸을때)
killall -9 wineserver && killall -9 wine64-preloader

11. Steam 설치 및 진행
- 설치를 위해서 다운로드 폴더로 다운로드
https://cdn.cloudflare.steamstatic.com/client/installer/SteamSetup.exe

- 실행 
gameportingtoolkit ~/my-game-prefix ~/Downloads/SteamSetup.exe
- 반드시 영문으로 설치

- 설치 후 steam 실행
(베틀넷은 설치 후 쭉~~~~ 기다리면 로그인 창 뜨지만 Steam은 설치 후 명령어 실행해야 App이 뜸)
gameportingtoolkit ~/my-game-prefix 'C:\Program Files (x86)/Steam/steam.exe'

- 로그인은 아래와 같이 
* 먼저 mac용 Steam app 설치 (맥용임)
* 맥용 steam app 로그인 
* 맥의 폴더 ($USER 는 내 맥 아이디임)
/Users/$USER/Library/Application Support/Steam
에서 
config, userdata 폴더와
registry.vdf 파일 Copy 후
* 아래 폴더에 붙여 넣는다.
~/my-game-prefix/drive_c/Program Files (x86)/Steam/
* my-game-prefix 는 위에 과정을 잘 따라했으면,
/Users/$USER 
* 즉, 내 아이디 밑에 폴더로 있음

- 그리고 다시 
gameportingtoolkit ~/my-game-prefix 'C:\Program Files (x86)/Steam/steam.exe'

- 로그인이 되서 steam 실행 짠!

- Steam은 배틀넷보다는 무지 빠름

맥에서 windows용 스팀 실행
맥에서 windows용 베틀넷 실행

 

# PS. 아직 게임을 다운 받아 돌려 보지 못함

# 집에 가자!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

제목이 곳 내용임

 

iPadOS를 17.0 Developer Beta로 올리고 나서부터 갑자기 유니버설 컨트롤이 작동을 안 한다.

물론 디스플레이 확장은 작동이 잘된다.

 

잘되던 유니버설 컨트롤이 작동이 안 된 장난 아니게 불편하다. 

음...

 

둘 다 베타라 그렇다고 해도 요즘 Apple이 점점 버그가 많아지는 느낌?
ㅡㅡ;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

1. ipad에 블루투스 키보드를 연결했는데 Teams 든 카카오톡이든 한영 전환이 안 돼서 짜증이 날 때 해결방법은 의외론 간단함
-> 설정 --> 손쉬운 사용 --> 키보드 --> 전체키보드 접근 --> 끔!!

2. 매직마우스 1세대를 아직도 잘 사용 중인데
문제는 이것이 ipad와 연결 시 스크롤도 제스처도 아무것도 안 먹는다
그냥 일반 블루투스 마우스가 더 잘된다.
이유는 없음. 그냥 애플이 지원 안 함.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

존윅4 혼자보기

Un™Log 2023. 5. 13. 11:08

혼자 kt vip 멤버십 예약으로 늦은 저녁 존윅4를 보러갔다
이전 존윅 세계관과 액션을 좋아해서 기대하며 영화를 봤는데
10번 이상 졸고 옆에 여자분은 3/2정도 지나자 나가고
그래 액션은 주짓수와 건슈팅 반복
서사는 지루하고
일부러 늘린듯한 느린 진행 굳이 3시간 가까이 영화를 만든 이유를 모르겠다
중간에 의자를 박차고 나오고 싶었지만 라스트 계단씬과 결론을 보려 참았다
뭔가 아쉬움
존윅의 세계관과 액션 그리고 자유라는 설명을 하는 과정이 지루했다
존윅 시리즈중 최고라고 하던데 이전 3편이 더 좋았다
뭐 액션씬은 그래도 인정!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Graph DB)는 그래프 이론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그래프는 노드(Node)와 간선(Edge)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구조로, 다양한 객체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이러한 관계를 저장, 쿼리 및 분석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분석 방법 몇 가지입니다:

  1.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 분석에 유용합니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금융 거래 네트워크 분석, 도로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중심성(Centrality) 측정, 클러스터링, 커뮤니티 감지(Community Detection)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핵심 요소나 구조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추천 시스템(Recommendation Systems):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추천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관련성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나 관심사를 파악하고, 유사한 사용자나 아이템 간의 관계를 찾아 추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친구 추천, 온라인 쇼핑에서 상품 추천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3. 경로 탐색(Path Finding):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경로 탐색 문제에 효과적입니다. 두 노드 간의 최단 경로를 찾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교통 네트워크, 라우팅 시스템, 지리 정보 시스템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4. 영역 감지(Cluster Detection):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영역 감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래프의 노드들을 서로 다른 클러스터로 그룹화하고, 각 클러스터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 유전체 분석, 이미지 분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그래프의 구조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클러스터 간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5. 온라인 위협 탐지(Online Threat Detection):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위협 탐지에 유용합니다. 네트워크 보안, 사이버 공격 탐지 등에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이상 행위나 악의적인 패턴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간의 연결, 행동 패턴 등을 그래프로 표현하고, 이상 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위험 요소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6. 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지식 그래프 구축과 질의에 활용됩니다. 지식 그래프는 엔티티(개체) 간의 관계를 표현하여 지식을 구조화한 데이터입니다. 이를 통해 질의와 연결된 지식을 추론하고, 지식 그래프를 통해 복잡한 질의나 검색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추이 분석, 시계열 분석, 영향력 분석 등 다양한 분석 작업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간의 관계를 표현하고 다양한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인물이나 관련 시설의 이상 징후를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석 기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그 중 몇 가지 우수한 분석 기법에 대한 우선순위 설명입니다:

  1. 이상 탐지(Anomaly Detection): 이상 탐지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상한 동작, 행위, 패턴을 탐지하는데 유용한 기법입니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개체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고, 이상 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정상적인 네트워크 패턴과 다른 이상한 패턴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 거래 네트워크에서 도난 신용카드 거래를 탐지하거나, 소셜 미디어에서 악성 계정을 찾아내는 등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2. 중심성 측정(Centrality Measures): 중심성은 그래프에서 중요한 노드를 찾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인물, 시설 등의 중심성을 계산하면, 네트워크 상에서 어떤 개체가 다른 개체들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을 식별하거나, 교통 네트워크에서 핵심 도로나 교차로를 찾는 등의 분석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3. 커뮤니티 감지(Community Detection):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인물이나 관련 시설이 속한 커뮤니티를 감지하는 기법입니다. 커뮤니티 감지는 개체들 간의 밀집한 연결을 기반으로 비슷한 특성이나 역할을 가진 개체들을 그룹화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인물의 소속 그룹이나 관련 시설들의 집단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죄 네트워크 분석에서 범죄 조직의 구조를 파악하거나,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동일한 지역 내의 관련 시설을 그룹화하는 등의 분석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4. 경로 분석(Path Analysis):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인물이나 관련 시설 간의 경로를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분석 기법입니다. 경로 분석은 두 노드 사이의 최단 경로, 최장 경로, 다양한 경로 패턴 등을 탐색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특정 인물이나 시설과 관련된 다른 개체들 간의 상호작용이나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죄 조사에서 범인과 피해자 사이의 경로를 추적하거나, 건강 관리에서 질병 전파 경로를 분석하는 등의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5. 그래프 분류(Classification):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인물이나 관련 시설을 분류하는 기법도 유용합니다.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래프의 속성과 관계를 기반으로 개체들을 분류하고, 유사한 특성을 가진 그룹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회 네트워크에서 인물을 구성원 유형에 따라 분류하거나, 건물 네트워크에서 시설을 기능별로 분류하는 등의 분석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6. 예측 및 추론(Prediction and Inference):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인물이나 관련 시설에 대한 예측과 추론을 수행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래프의 구조와 속성을 기반으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누락된 정보를 예측하거나, 새로운 관계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사용자의 관심사를 예측하거나, 인물 네트워크에서 연결되지 않은 관계를 추론하는 등의 분석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 기법들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인물이나 관련 시설의 이상 징후를 탐지하고, 구조와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각 분석 기법은 데이터의 특성과 분석 목적에 따라 적절한 우선순위로 선택되어야 합니다.

그래프DB를 사용하여 이상 탐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분석 절차를 따를 수 있습니다:

  1. 데이터 모델링: 그래프DB에 데이터를 모델링하여 관계와 속성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인물과 관련된 노드와 각 노드 간의 연결 관계(친구, 동료, 가족 등)를 표현합니다. 또한, 각 노드와 연결된 속성(나이, 직업, 거주지 등)을 정의합니다.

  2. 정상 데이터 수집 및 특징 추출: 이상 탐지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프DB에서 필요한 특징을 추출합니다. 예를 들어, 각 노드의 중심성 지표, 이웃 노드와의 연결성, 속성 값 등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3. 이상 패턴 정의: 이상 탐지를 위해 정상 데이터에서 패턴을 분석하고, 이상 패턴을 정의합니다. 이상 패턴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조나 속성 값에서 벗어난 것으로 정의됩니다. 이상 패턴은 도메인 지식과 경험에 기반하여 정의될 수 있습니다.

  4. 이상 탐지 알고리즘 적용: 이상 탐지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적용합니다. 그래프DB에서는 그래프의 구조, 속성, 관계 등을 고려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그-기반 이상 탐지,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 그래프 분류 모델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이상 탐지 결과 표현: 이상 탐지 결과를 표현하여 분석자가 해석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래프DB에서는 이상 탐지된 노드나 연결 관계를 시각화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상 탐지된 인물의 중심성 지표를 강조하거나, 이상한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6. 모니터링 및 대응: 이상 탐지 모델을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탐지 결과를 확인합니다. 이상 탐지된 패턴이나 개체에 대해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조치를 취합니다. 예를 들어, 이상 탐지된 인물의 경우, 해당 인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추가적인 조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상 탐지 결과에 따라 보안 조치를 취하거나 해당 개체에 대한 추가 검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상 탐지를 위한 패턴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시로는:

  • 이상 점수(Anomaly Score): 각 개체의 이상 점수를 계산하여 탐지합니다. 예를 들어, 중심성 지표나 속성 값의 분포를 기반으로 개체의 이상 점수를 계산하고, 임계값을 설정하여 이상한 개체를 탐지합니다.

  • 그래프 패턴: 그래프의 구조적 패턴을 분석하여 이상을 탐지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개체와의 연결이 예상되는 패턴과 다른 연결이 나타나는 경우를 이상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 이벤트 시계열: 개체의 행동이나 상호작용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을 탐지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개체의 활동 패턴이 예상과 다른 경우를 이상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이상 탐지 결과는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그래프DB에서는 그래프 시각화 도구를 사용하여 이상 탐지된 개체를 강조하거나, 이상한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분석자는 이상 탐지 결과를 쉽게 이해하고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상 탐지 모델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어야 합니다. 새로운 데이터가 수집되거나 네트워크 구조가 변경되면 모델을 업데이트하고 성능을 평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상 탐지를 수행하고 보안 위협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상 탐지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고리즘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1. 로그-기반 이상 탐지(Log-based Anomaly Detection): 로그-기반 이상 탐지는 시스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로그 데이터의 패턴, 동작, 시간 간격 등을 분석하여 정상적인 동작과 다른 이상한 동작을 탐지합니다. 로그 데이터는 시스템 이벤트, 사용자 행동, 네트워크 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집될 수 있습니다.

  2.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Anomaly Score Calculation):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은 개체의 이상 정도를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개체의 특성, 속성, 행동 패턴 등을 기반으로 정상 상태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이상 점수를 할당합니다. 주로 확률 기반 알고리즘, 통계 기반 알고리즘, 기계 학습 기반 알고리즘 등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Z-점수, 사분위수, 평균 이동, KNN(K-Nearest Neighbors) 등이 이상 점수 계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그래프 분류 모델(Graph Classification Model): 그래프 분류 모델은 그래프 데이터에서 이상을 탐지하기 위해 기계 학습 기반 분류 모델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그래프 데이터의 노드, 엣지, 속성 등을 입력으로 하고, 정상 및 이상 클래스로 레이블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델을 학습시킵니다. 그래프 분류 모델은 주로 신경망 기반 모델인 그래프 컨볼루션 신경망(GCN, Graph Convolutional Network)이나 그래프 지능 모델(GNN, Graph Neural Network) 등을 활용합니다.

로그-기반 이상 탐지(Log-based Anomaly Detection)는 시스템 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상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시스템 로그는 소프트웨어, 서버, 네트워크 등 다양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와 상태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입니다. 이러한 로그 데이터는 시스템의 정상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분석하여 이상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로그-기반 이상 탐지(Log-based Anomaly Detection) 알고리즘은 다양한 방법과 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특성과 분석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습니다.  

 

로그-기반 이상 탐지에서 자주 사용되는 몇 가지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1. 로그 패턴 분석(Log Pattern Analysis): 로그 패턴 분석은 로그 데이터에서 정상 동작과 다른 이상한 패턴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로그 데이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시퀀스, 시간 간격, 이벤트 타입 등을 분석하여 정상적인 로그 패턴과 다른 이상한 패턴을 식별합니다. 주로 시계열 분석, 패턴 인식, 기계 학습 등의 기법을 사용합니다.

  2. 로그 클러스터링(Log Clustering): 로그 클러스터링은 로그 데이터를 클러스터로 그룹화하여 정상 클러스터와 이상 클러스터를 식별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로그 메시지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고, 비정상적인 클러스터를 탐지합니다. 주로 비지도 학습 기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예를 들면 K-means, DBSCAN 등을 사용합니다.

  3. 시계열 분석(Time Series Analysis): 로그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활용하여 이상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시계열 분석은 로그 데이터의 트렌드, 계절성, 이상치 등을 분석하여 정상적인 동작과 다른 이상한 동작을 식별합니다. 주로 이동 평균, 지수 평활법, ARIMA 등의 시계열 분석 기법을 사용합니다.

  4. 로그 기반 기계 학습(Log-based Machine Learning): 기계 학습 기반 로그-기반 이상 탐지는 로그 데이터에서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상 동작과 이상 동작을 구분하는 모델을 학습하는 방법입니다. 주어진 로그 데이터에서 다양한 특징, 예를 들면 로그 메시지의 키워드, 속성 값, 시간 정보 등을 추출하여 입력으로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기계 학습 모델, 예를 들면 결정 트리, 랜덤 포레스트, 신경망 등을 학습시켜 정상 동작과 이상 동작을 구분하는 분류 모델을 생성합니다.

이상 탐지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특성과 환경에 따라 선택되며, 성능 평가와 튜닝 과정을 거쳐야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로그 데이터의 전처리 과정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로그 메시지에서 중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로그-기반 이상 탐지는 시스템 모니터링, 보안 감사, 장애 예측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이상 동작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Anomaly Score Calculation)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은 개체의 이상 정도를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개체의 특성, 속성, 행동 패턴 등을 기반으로 정상 상태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이상 점수를 할당합니다. 다양한 알고리즘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합니다:

  1. Z-점수(Z-Score): Z-점수는 개체의 속성 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표준편차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점수입니다. 개체의 속성 값에서 평균을 뺀 후, 표준편차로 나누어 계산됩니다. 이상 점수는 Z-점수가 일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할당됩니다. Z-점수는 정규 분포를 가정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2. 사분위수(Q-Score): 사분위수는 개체의 속성 값이 전체 데이터의 분포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점수입니다. 주어진 데이터를 작은 값부터 큰 값까지 정렬한 후, 개체의 속성 값이 전체 데이터의 어느 사분위에 해당하는지를 계산합니다. 이상 점수는 사분위수가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할당됩니다.

  3. 평균 이동(Mean Shift): 평균 이동은 데이터 포인트가 주어진 범위 내에서 이동하면서 데이터 분포의 중심을 찾는 알고리즘입니다. 개체의 속성 값이 평균 이동으로 추정된 중심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계산하여 이상 점수를 할당합니다. 이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클러스터링과 이상 탐지에 널리 사용됩니다.

  4. KNN(K-Nearest Neighbors): KNN은 개체의 속성 값과 가장 가까운 이웃들을 기반으로 이상 점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주어진 데이터에서 개체의 속성 값과 가장 가까운 K개의 이웃을 찾고, 개체와 이웃들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이상 점수를 할당합니다. KNN은 이상치가 주변 이웃들과 거리가 멀거나 밀도가 낮은 경우에 높은 이상 점수를 할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특성과 분포에 따라 선택되며, 성능 평가와 튜닝을 통해 최적화될 수 있습니다.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은 개별 데이터 포인트의 이상 정도를 평가하므로, 이상 점수의 임계값 설정은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상 점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이상으로 분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또한, 알고리즘의 선택과 특징 추출 과정은 분석 대상 데이터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수치적인 속성을 가진 데이터에는 Z-점수와 사분위수를 활용할 수 있으며, 공간적인 패턴을 가진 데이터에는 평균 이동이나 KNN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의 성능은 정확도, 재현율, 정밀도 등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알고리즘의 튜닝을 통해 최적의 하이퍼파라미터를 찾고, 다른 알고리즘과의 비교를 통해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상 점수 계산은 단일 알고리즘으로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여러 알고리즘을 조합하여 종합적인 이상 점수를 계산하는 앙상블 방법이나, 시계열 데이터의 경우 시간적인 흐름을 고려한 알고리즘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은 이상 탐지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며, 데이터의 특성과 목적에 맞게 적절한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능 평가와 튜닝을 통해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다음은 JavaScript를 사용하여 로그-기반 이상 탐지의 예를 보여주는 간단한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Z-점수를 이용한 이상 탐지를 구현한 예제입니다:

// 로그 데이터 예시 배열
const logData = [
  { timestamp: '2022-01-01 10:00:00', value: 5 },
  { timestamp: '2022-01-02 10:00:00', value: 6 },
  { timestamp: '2022-01-03 10:00:00', value: 7 },
  { timestamp: '2022-01-04 10:00:00', value: 12 },
  { timestamp: '2022-01-05 10:00:00', value: 8 },
];

// 평균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Mean(data) {
  const sum = data.reduce((acc, curr) => acc + curr.value, 0);
  return sum / data.length;
}

// 표준편차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StandardDeviation(data, mean) {
  const squaredDiff = data.reduce((acc, curr) => acc + Math.pow(curr.value - mean, 2), 0);
  const variance = squaredDiff / data.length;
  return Math.sqrt(variance);
}

// Z-점수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ZScore(value, mean, stdDeviation) {
  return (value - mean) / stdDeviation;
}

// 이상 탐지 함수
function detectAnomalies(logData) {
  const mean = calculateMean(logData);
  const stdDeviation = calculateStandardDeviation(logData, mean);

  const anomalies = [];
  for (let i = 0; i < logData.length; i++) {
    const zScore = calculateZScore(logData[i].value, mean, stdDeviation);
    if (zScore > 2) {
      anomalies.push(logData[i]);
    }
  }

  return anomalies;
}

// 이상 탐지 실행
const detectedAnomalies = detectAnomalies(logData);
console.log('Detected anomalies:', detectedAnomalies);

위의 코드는 로그 데이터 배열을 가지고 Z-점수를 계산하여 이상 탐지를 수행합니다. Z-점수가 2보다 큰 경우를 이상으로 판단하고 해당 로그 데이터를 결과로 출력합니다. 예제에서는 로그 데이터에 'timestamp'와 'value' 속성이 있다고 가정하고, 'value' 속성을 기반으로 이상을 탐지합니다.

이 예제는 간단한 개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실제 상황에서는 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알고리즘을 수정하고 추가적인 전처리 및 튜닝을 수행해야 합니다.

 

JavaScript를 사용하여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아래의 예제는 간단한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을 보여줍니다:

// 로그 데이터 예시 배열
const logData = [4, 5, 6, 7, 2, 3, 8, 9, 4, 5, 10, 3, 4];

// 평균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Mean(data) {
  const sum = data.reduce((acc, curr) => acc + curr, 0);
  return sum / data.length;
}

// 표준편차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StandardDeviation(data, mean) {
  const squaredDiff = data.reduce((acc, curr) => acc + Math.pow(curr - mean, 2), 0);
  const variance = squaredDiff / data.length;
  return Math.sqrt(variance);
}

// 이상 점수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AnomalyScore(value, mean, stdDeviation) {
  const zScore = (value - mean) / stdDeviation;
  return Math.abs(zScore); // 절대값으로 변환하여 양수 값으로 표현
}

// 이상 점수 계산 실행
const mean = calculateMean(logData);
const stdDeviation = calculateStandardDeviation(logData, mean);

const anomalyScores = [];
for (let i = 0; i < logData.length; i++) {
  const score = calculateAnomalyScore(logData[i], mean, stdDeviation);
  anomalyScores.push(score);
}

console.log('Anomaly scores:', anomalyScores);

위의 코드에서는 주어진 로그 데이터 배열을 사용하여 각 데이터 포인트의 이상 점수를 계산합니다. 평균과 표준편차를 먼저 계산한 후, 각 데이터 포인트에 대해 이상 점수를 계산하여 결과를 배열에 저장합니다. 이상 점수는 Z-점수로 계산되며, 절대값으로 변환하여 양수 값으로 표현됩니다.

위의 예제는 간단한 개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상황에서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알고리즘을 수정하고 추가적인 전처리 및 튜닝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상 점수 계산은 데이터 분석의 일부로 활용되며, 결과를 활용하여 이상 탐지나 이상 포인트의 우선순위 결정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K-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s, KNN)은 이상 탐지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알고리즘입니다.

 

아래의 예제는 JavaScript를 사용하여 KNN 알고리즘을 구현한 간단한 코드입니다:

// 학습 데이터셋
const trainingData = [
  { x: 1, y: 1, label: 'Normal' },
  { x: 2, y: 1, label: 'Normal' },
  { x: 4, y: 3, label: 'Normal' },
  { x: 5, y: 4, label: 'Normal' },
  { x: 1, y: 5, label: 'Anomaly' },
  { x: 2, y: 5, label: 'Anomaly' },
  { x: 4, y: 2, label: 'Anomaly' },
  { x: 5, y: 1, label: 'Anomaly' }
];

// 테스트 데이터 포인트
const testData = [
  { x: 3, y: 2 },
  { x: 1, y: 3 },
  { x: 4, y: 4 },
  { x: 2, y: 2 }
];

// 거리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Distance(point1, point2) {
  const dx = point1.x - point2.x;
  const dy = point1.y - point2.y;
  return Math.sqrt(dx * dx + dy * dy);
}

// KNN 알고리즘 함수
function knn(k, trainingData, testData) {
  const results = [];

  for (let i = 0; i < testData.length; i++) {
    const distances = [];

    // 각 테스트 데이터와 학습 데이터 간의 거리 계산
    for (let j = 0; j < trainingData.length; j++) {
      const distance = calculateDistance(testData[i], trainingData[j]);
      distances.push({ distance, label: trainingData[j].label });
    }

    // 거리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K개의 이웃 선택
    distances.sort((a, b) => a.distance - b.distance);
    const nearestNeighbors = distances.slice(0, k);

    // 이웃들의 레이블 카운트
    const labelCounts = {};
    for (let j = 0; j < nearestNeighbors.length; j++) {
      const label = nearestNeighbors[j].label;
      if (labelCounts[label]) {
        labelCounts[label]++;
      } else {
        labelCounts[label] = 1;
      }
    }

    // 가장 많이 등장한 레이블 선택
    const sortedLabels = Object.entries(labelCounts).sort((a, b) => b[1] - a[1]);
    const predictedLabel = sortedLabels[0][0];
    results.push({ testData: testData[i], predictedLabel });
  }

  return results;
}

// KNN 알고리즘 실행
const k = 3;
const knnResults = knn(k, trainingData, testData);
console.log('KNN results:', knnResults);

위의 코드에서는 학습 데이터셋과 테스트 데이터 포인트를 사용하여 KNN 알고리즘을 실행합니다.

각 데이터 포인트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가장 가까운 K개의 이웃을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이웃들의 레이블을 카운트하여 가장 많이 등장한 레이블을 선택합니다. 이를 통해 테스트 데이터 포인트의 레이블을 예측합니다.

위의 예제는 간단한 개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상황에서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알고리즘을 수정하고 추가적인 전처리 및 튜닝을 수행해야 합니다. KNN 알고리즘은 이상 탐지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법 중 하나이며, 이를 통해 이상 포인트를 탐지하거나 이상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KNN 알고리즘에 의해 테스트 데이터 포인트의 예측 레이블이 출력됩니다. 예제에서는 'Normal'과 'Anomaly'라는 두 가지 레이블을 사용하였으며, 학습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테스트 데이터 포인트의 레이블을 예측합니다.

참고: 이 예제는 단순히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보다 복잡한 데이터와 문제에 적용하고, 필요에 따라 KNN 알고리즘을 수정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시계열 분석(Time Series Analysis)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다양한 시계열 분석 알고리즘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델을 JavaScript로 구현하는 예제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아래의 코드는 시계열 데이터를 로드하고 ARIMA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을 수행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csv = require('csv-parser');
const { ARIMA } = require('arima-js');

// 시계열 데이터 로드
function loadTimeSeriesData(filename)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const data = [];
    fs.createReadStream(filename)
      .pipe(csv())
      .on('data', (row) => {
        data.push(parseFloat(row.value));
      })
      .on('end', () => {
        resolve(data);
      })
      .on('error', (err) => {
        reject(err);
      });
  });
}

// ARIMA 모델을 사용하여 시계열 예측 수행
async function performTimeSeriesPrediction(data) {
  // ARIMA 모델 초기화
  const model = new ARIMA();

  // 모델 학습
  model.train(data);

  // 다음 값을 예측
  const nextValue = model.predict(1);

  return nextValue;
}

// 시계열 데이터 파일 경로
const filename = 'time_series_data.csv';

// 시계열 데이터 로드 및 예측 실행
loadTimeSeriesData(filename)
  .then((data) => {
    return performTimeSeriesPrediction(data);
  })
  .then((prediction) => {
    console.log('Next value prediction:', prediction);
  })
  .catch((error) => {
    console.error('An error occurred:', error);
  });

위의 코드는 csv-parser와 arima-js 패키지를 사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로드하고 ARIMA 모델을 초기화한 다음 학습시키고, 다음 값을 예측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예제에서는 CSV 파일 형식의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하며, 예측 결과는 콘솔에 출력됩니다.

실제로는 데이터 전처리, 모델 파라미터 튜닝, 예측 결과 평가 등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시계열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거나 ARIMA 모델을 확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제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상황에 맞게 코드를 수정하고 확장해야 합니다.

ARIMA 이외에도 다양한 시계열 분석 모델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Exponential Smoothing(지수 평활법) 모델을 JavaScript로 구현하는 예제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아래의 코드는 시계열 데이터를 로드하고 Exponential Smoothing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을 수행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csv = require('csv-parser');
const { ExponentialSmoothing } = require('simple-statistics');

// 시계열 데이터 로드
function loadTimeSeriesData(filename)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const data = [];
    fs.createReadStream(filename)
      .pipe(csv())
      .on('data', (row) => {
        data.push({ date: new Date(row.date), value: parseFloat(row.value) });
      })
      .on('end', () => {
        resolve(data);
      })
      .on('error', (err) => {
        reject(err);
      });
  });
}

// Exponential Smoothing 모델을 사용하여 시계열 예측 수행
async function performTimeSeriesPrediction(data) {
  // 데이터 포인트 추출
  const dates = data.map((point) => point.date);
  const values = data.map((point) => point.value);

  // Exponential Smoothing 모델 초기화
  const model = ExponentialSmoothing.simple(values);

  // 다음 값을 예측
  const nextValue = model.forecast(1);

  // 다음 날짜 계산
  const lastDate = dates[dates.length - 1];
  const nextDate = new Date(lastDate.getTime() + 24 * 60 * 60 * 1000); // 다음 날짜를 1일 뒤로 설정

  return { date: nextDate, value: nextValue };
}

// 시계열 데이터 파일 경로
const filename = 'time_series_data.csv';

// 시계열 데이터 로드 및 예측 실행
loadTimeSeriesData(filename)
  .then((data) => {
    return performTimeSeriesPrediction(data);
  })
  .then((prediction) => {
    console.log('Next value prediction:', prediction);
  })
  .catch((error) => {
    console.error('An error occurred:', error);
  });

위의 코드에서는 csv-parser와 simple-statistics 패키지를 사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로드하고 Exponential Smoothing 모델을 초기화한 다음 예측을 수행합니다. 예제에서는 CSV 파일 형식의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하며, 예측 결과는 콘솔에 출력됩니다.

 

실제로는 데이터 전처리, 모델 파라미터 튜닝, 예측 결과 평가 등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시계열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거나 Exponential Smoothing 모델을 확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예제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상황에 맞게 코드를 수정하고 확장합니다.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관계 시각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를 수 있습니다.

 

  1. 데이터 모델링:
    • 먼저, 시각화하려는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해야 합니다. 어떤 유형의 노드(인물, 시설, 키워드 등)와 어떤 유형의 관계(연결)를 표현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인물을 나타내는 노드와 인물 간의 친구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모델링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데이터 스키마를 설계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로는 Neo4j, Amazon Neptune, JanusGraph 등이 있습니다.

  2. 데이터 수집 및 저장:
    • 원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적절한 노드와 관계를 생성하여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인물의 정보와 친구 관계를 수집하고, 각 인물을 노드로 표현하고 인물 간의 친구 관계를 관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3. 시각화 도구 선택: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위해 적합한 도구를 선택해야 합니다. 여러 시각화 도구가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는 D3.js입니다. D3.js는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시각화 라이브러리로, 다양한 그래프와 네트워크 시각화를 지원합니다.

  4. 시각화 디자인:
    • 시각화의 목적과 필요한 정보를 고려하여 시각화 디자인을 계획합니다. 어떤 유형의 그래프 레이아웃을 사용할지, 노드와 관계를 어떻게 표현할지, 색상과 크기를 어떻게 사용할지 등을 결정해야 합니다.
    • 네트워크 패턴을 시각화하는 방법 중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force-directed layout이 있습니다. 이는 노드들이 서로에게 작용하는 힘을 시뮬레이션하여 그래프를 구성합니다.
    • force-directed layout은 노드 간의 연결을 유지하면서 노드를 자연스럽게 분포시키는 방식으로 그래프를 배치합니다. 이 방식은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구조와 연결 패턴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기에 유용합니다.
    • 시각화에서는 노드와 관계를 다른 방식으로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인물을 원형 노드로 표현하고, 친구 관계를 실선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노드의 크기나 색상을 해당 인물의 중요도나 특성에 따라 다르게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5. 데이터 시각화:
    • 선택한 시각화 도구를 사용하여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시각화합니다. D3.js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와서 웹 페이지에 동적으로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노드와 관계를 적절한 시각화 요소로 변환하고, force-directed layou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노드를 배치합니다. 각 노드와 관계에 대한 추가 정보(이름, 속성, 관계 유형 등)를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6. 상호작용 추가:
    •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그래프에 인터랙티브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노드를 클릭하면 해당 노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노드를 드래그하여 그래프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필터링 기능을 추가하여 특정 유형의 노드나 관계만 표시하거나 특정 속성에 따라 시각적인 변화를 줄 수도 있습니다.

 

인물이나 시설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빈도나 패턴을 분석하고 시각화로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 기법

 

  1. 빈도 분석 (Frequency Analysis):
    • 데이터에서 항목(인물, 시설 등)이 발생하는 빈도를 계산하고 표현하는 분석 기법입니다.
    • 예를 들어, 인물의 등장 횟수를 세어 가장 많이 등장한 인물 순으로 정렬하여 막대 그래프나 도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이를 통해 데이터에서 주요 인물이나 시설을 식별하고 상대적인 빈도를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2. 연결 분석 (Network Analysis):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므로 인물이나 시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 연결 분석은 인물이나 시설 간의 관계 패턴을 파악하고 중요한 연결을 찾는 기법입니다.
    • 예를 들어, 친구 관계를 분석하여 인물들 사이의 중요한 연결 관계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중심성 지표를 사용하여 중요한 인물이나 시설을 식별할 수도 있습니다.

  3. 군집 분석 (Clustering Analysis):
    •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사한 항목을 그룹화하는 기법입니다.
    • 인물이나 시설의 특성이나 속성에 따라 군집을 형성하여 비슷한 특성을 가진 항목끼리 묶을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인물의 관심사나 시설의 기능에 따라 군집을 형성하고, 군집 간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4. 시계열 분석 (Time Series Analysis):
    • 데이터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패턴을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 인물이나 시설의 특정 속성이나 활동의 변화를 시간적으로 추적하여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특정 인물의 활동량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선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5. 텍스트 마이닝 (Text Mining):
    • 인물이나 시설과 관련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 텍스트 데이터에서 키워드 추출, 문서 분류, 감성 분석 등을 수행하여 인물이나 시설의 특성을 이해하고 관련 패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인물의 소셜 미디어 게시물이나 기사에서 언급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가장 빈도가 높은 키워드를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6. 지리 정보 시각화 (Geospatial Visualization):
    • 인물이나 시설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 지도상에 인물이나 시설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지리적 특성을 기준으로 클러스터링하여 관련 패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지리적으로 분포된 시설을 지도에 마커로 표시하고, 인구 밀도와 관련하여 색상을 사용하여 히트맵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7. 시각적 네트워크 분석 (Visual Network Analysis):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의 관계를 시각화하여 패턴을 파악하는 기법입니다.
    • 인물이나 시설 간의 관계 네트워크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네트워크의 속성이나 중요도에 따라 노드의 크기, 색상 등을 다르게 표현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인물을 중앙에 배치하고, 관계 강도에 따라 노드의 크기를 조절하여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인물을 중심으로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 기법으로는 "중심성 분석 (Centrality Analysis)"이 가장 효과적

 

  • 중심성 분석은 그래프에서 노드의 중요성을 측정하고 순위를 매기는 기법으로, 인물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연결 중심성 (Degree Centrality): 인물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다른 인물의 수를 측정합니다. 높은 연결 중심성을 가진 인물은 많은 다른 인물과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중요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2. 근접 중심성 (Closeness Centrality): 인물과 다른 인물들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측정합니다. 가까운 다른 인물들과의 거리가 짧을수록 근접 중심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다른 인물들과의 의사소통이 빠르고 효율적인 인물은 중요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3. 매개 중심성 (Betweenness Centrality): 인물이 다른 인물들 간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정도를 측정합니다. 다른 인물들 간의 관계 형성에 있어서 인물이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많이 수행할수록 매개 중심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내에서 정보나 자원의 흐름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인물은 중요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4. 위세 중심성 (Eigenvector Centrality): 인물이 연결된 다른 인물들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측정합니다. 다른 인물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 중요한 인물들과의 연결을 가질수록 위세 중심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다른 중요한 인물들과의 관계를 갖는 인물은 중요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 중심성 분석을 통해 각 인물의 중요도를 측정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그래프 상에서 중요한 인물을 강조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중심성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노드 크기: 각 인물을 그래프 상에서 표현하는 노드의 크기를 중심성 지표에 따라 다르게 조정합니다. 중요한 인물일수록 더 큰 크기의 노드로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습니다.

  2. 색상: 중심성 지표에 따라 인물의 노드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시각적으로 중요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높은 중심성을 가진 인물은 진한 색상을, 낮은 중심성을 가진 인물은 연한 색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노드 레이블: 각 인물의 이름이나 식별자를 노드에 표시하여 인물을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중심성 지표에 따라 레이블을 표시하는 위치나 스타일을 다르게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4. 간선 가중치: 인물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간선의 굵기나 투명도를 중심성 지표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관계의 강도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중심성이 높은 인물과의 연결은 더 굵은 간선으로 표시되거나 간선의 색상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5. 네트워크 레이아웃: 인물들의 위치를 조정하여 그래프의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중심성에 따라 중요한 인물을 중앙에 배치하거나 그룹 간의 연결을 강조하기 위해 군집 별로 인물을 배치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시각화 기법을 사용하여 중심성 분석 결과를 그래프 상에서 표현하면, 중요한 인물들이 시각적으로 부각되어 데이터의 패턴과 관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주요한 시각화 기법과 해당 기법을 사용하여 노드와 엣지 표현

  1. 노드 표현 기법:

    • 원형 노드 (Circular Nodes): 인물이나 시설을 원형으로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각 노드는 하나의 인물이나 시설을 나타내며, 노드의 크기, 색상, 아이콘 등을 활용하여 중요도나 특성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 아이콘 노드 (Icon Nodes): 인물이나 시설을 아이콘으로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노드에는 해당 인물이나 시설과 관련된 아이콘, 사진, 로고 등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 아이콘의 크기나 색상을 활용하여 중요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레이블 노드 (Label Nodes): 인물이나 시설의 이름이나 식별자를 노드에 직접 표시하는 기법입니다. 각 노드에 텍스트를 추가하여 인물이나 시설을 식별하고, 텍스트의 크기, 폰트, 색상 등을 활용하여 중요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엣지 표현 기법:

    • 선형 엣지 (Linear Edges): 인물이나 시설 간의 관계를 선으로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각 엣지는 두 노드 사이의 연결을 나타내며, 선의 굵기, 색상, 투명도 등을 조절하여 관계의 강도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 화살표 엣지 (Arrow Edges): 인물이나 시설 간의 방향성을 포함한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각 엣지는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표현되며, 화살표의 크기나 색상을 조절하여 관계의 강도나 방향성을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 곡선 엣지 (Curved Edges): 인물이나 시설 간의 관계를 곡선으로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선의 곡선 정도나 방향을 조절하여 관계의 강도나 흐름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더블 엣지 (Double Edges): 인물이나 시설 간의 관계를 두 개의 병렬 선으로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두 선 사이의 간격, 굵기, 색상을 조절하여 관계의 강도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양방향 관계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 가중치 엣지 (Weighted Edges): 관계의 강도를 숫자로 표현하고, 해당 숫자를 엣지의 굵기나 색상으로 표시하는 기법입니다. 숫자가 클수록 굵은 엣지나 진한 색상을 사용하여 관계의 강도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위의 시각화 기법들은 각 노드와 엣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여 인물이나 시설의 관계와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전달합니다. 선택할 시각화 기법은 데이터의 특성, 목적, 시각화 도구의 기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시각화 도구나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활용하여 노드와 엣지의 모양, 크기, 색상 등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인물 관계를 나타내는 시각화 기법 구현

 

  1. 힘 그래프 (Force-directed Graph): 힘 그래프는 노드와 엣지 간의 물리적인 힘을 모델링하여 그래프를 그리는 기법입니다. 각 노드는 서로 밀접하게 위치하려는 힘을 가지며, 각 엣지는 노드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힘을 가집니다. 이러한 힘들을 계산하여 노드와 엣지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관계를 시각화합니다. 노드 간의 밀접한 관계가 시각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며, 그래프의 밀도와 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에 효과적입니다.

  2. 트리 맵 (Tree Map): 트리 맵은 계층적인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사각형의 계층적인 구조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각 노드는 사각형의 크기로 표현되며, 하위 노드는 부모 노드의 사각형 내부에 위치합니다. 노드의 크기는 해당 노드의 중요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트리 맵은 인물 간의 계층적인 관계를 시각화하는데 유용하며, 중요한 인물이 큰 사각형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원형 트리 (Radial Tree): 원형 트리는 중심 노드를 중심으로 반경을 가지며, 계층적인 관계를 원형으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각 노드는 원형 트리의 원 위에 위치하며, 엣지는 중심 노드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표현됩니다. 원형 트리는 인물 간의 계층적인 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에 효과적이며, 중심 노드를 중심으로 한 계층 구조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4. 히트맵 (Heatmap): 히트맵은 노드와 엣지 간의 관계를 색상으로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각 노드나 엣지는 관계의 강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됩니다. 히트 맵은 각 노드와 엣지의 중요도, 빈도, 연결 강도 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관계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높은 중요도나 강도를 가진 노드나 엣지는 진한 색상으로 표시되고, 낮은 중요도나 강도를 가진 노드나 엣지는 연한 색상으로 표시됩니다.

  5. 산점도 (Scatter Plot): 산점도는 인물이나 시설을 점으로 표현하여 그래프에 배치하는 기법입니다. 각 노드는 그래프의 축에 해당하는 특성을 가지며, 해당 특성에 따라 점의 위치를 조정하여 관계를 시각화합니다. 인물 간의 유사성이나 관련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점의 크기나 색상을 활용하여 중요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6. 트리 다이어그램 (Tree Diagram): 트리 다이어그램은 계층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트리 형태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각 노드는 부모-자식 관계를 나타내는 엣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계층적인 관계를 시각화합니다. 중요한 인물이 상위 계층에 위치하고 하위 계층으로 내려갈수록 중요도가 낮아지는 구조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7. 군집화 (Clustering): 군집화는 관련성이 있는 인물이나 시설을 그룹으로 묶어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관련된 인물이나 시설은 동일한 색상이나 모양의 노드로 표시되어 그룹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관련성이 높은 인물들끼리 묶여 있는 패턴이 시각적으로 파악되고, 전체 그래프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위의 시각화 기법들은 노드와 엣지 사이의 관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입니다.

 

GraphDB 시각화 기법들인 "cola", "cise", "avsdf", "klay" 등에 대해 설명, 추가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시각화 기법들

 

  1. cola (Constraint-Based Layout): cola는 제약 기반 레이아웃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그래프를 시각화하는 시각화 도구입니다. 노드와 엣지 사이의 관계와 제약 조건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래프의 노드와 엣지를 배치합니다. cola는 노드의 위치, 엣지의 길이 및 방향, 간격 등을 조정하여 그래프를 더 가독성 있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cise (Circular Spring Embedder): cise는 원형 형태로 그래프를 배치하는 알고리즘입니다. 그래프의 노드를 원 주위에 배치하고, 노드 간의 힘과 스프링 모델을 사용하여 노드의 위치를 조정합니다. cise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진 그래프를 시각화하는 데 효과적이며, 관련된 노드들이 시각적으로 가까이 배치되어 관계를 파악하기 쉽게 해줍니다.

  3. avsdf (All-Valence Spring-Force-Directed): avsdf는 엣지의 가중치를 고려한 스프링-힘-방향 알고리즘입니다. 엣지의 가중치를 힘의 크기로 사용하여 그래프의 노드를 배치하고, 엣지를 조정합니다. 가중치가 큰 엣지에는 강력한 힘을 가하고, 가중치가 작은 엣지에는 약한 힘을 가하므로 중요한 관계를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습니다.

  4. klay (Kamada-Kawai Layout): klay는 가중치가 없는 그래프를 시각화하는 알고리즘입니다. 노드 간의 거리를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그래프를 배치합니다. klay는 노드의 중력과 스프링 힘을 사용하여 노드의 위치를 조정하며, 그래프를 일관된 간격과 가독성을 가지도록 시각화합니다.

  5. Breadth-first Layout: Breadth-first Layout은 그래프의 노드를 너비 우선 탐색(Breadth-first search)의 방식으로 배치하는 기법입니다. 그래프의 레벨에 따라 노드를 계층적으로 배치하여 시각화합니다. 같은 레벨에 있는 노드들은 수평으로 정렬되며, 레벨이 깊어질수록 아래쪽으로 위치합니다. 이 기법은 계층 구조를 가진 그래프를 시각화하는 데 유용합니다.

  6. Connectic: Connectic은 그래프를 연결된 컴포넌트로 구분하고, 각 컴포넌트를 독립적으로 배치하는 기법입니다. 각 컴포넌트는 중심에 노드를 배치하고, 다른 노드들은 중심 노드 주위에 원형이나 방사형으로 배치됩니다. 이 기법은 그래프의 컴포넌트를 시각적으로 구분하고, 컴포넌트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7. Cose (Compound Spring Embedder): Cose는 그래프의 노드를 스프링-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배치하는 기법입니다. 노드 간의 스프링 힘과 전기력을 모델링하여 노드의 위치를 조정합니다. 또한, 그래프를 계층 구조로 가지는 경우에는 계층 간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배치합니다. Cose는 그래프의 전체적인 밸런스와 가독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8. Cose-Bilkent: Cose-Bilkent는 Cose의 변형된 형태로, 그래프를 스프링-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Cose-Bilkent는 노드의 위치 조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적응형 계획법(Adaptive Planning)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그래프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고, 노드들의 겹침을 최소화하여 시각화 결과를 개선합니다.

  9. Grid Layout: Grid Layout은 그래프의 노드를 격자 형태로 배치하는 기법입니다. 노드들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셀에 배치되며, 엣지는 셀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표현됩니다. Grid Layout은 그래프의 가독성을 높이고, 노드와 엣지의 정렬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래프의 크기가 커지거나 복잡한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10. Dagre (Directed Acyclic Graph Renderer): Dagre는 방향성이 있는 비순환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 DAG)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그래프의 노드와 엣지를 계층 구조로 배치하여 시각화합니다. Dagre는 각 노드와 엣지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최적의 배치를 수행하며, 가독성과 그래프 구조의 표현력을 향상시킵니다.

  11. Hierarchical Edge Bundling: Hierarchical Edge Bundling은 복잡한 그래프에서 엣지를 번들로 묶어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그래프의 계층 구조를 유지하면서 관련된 엣지들을 묶어 시각적인 혼잡도를 줄이고 가독성을 향상시킵니다. 번들 내의 엣지들은 곡선 형태로 그려지며, 연결 관계를 강조하여 시각화합니다.

  12. Radial Tree Layout: Radial Tree Layout은 트리 구조를 반지름으로 표현하여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트리의 루트 노드를 중심으로 노드들을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하고, 각 노드의 자식 노드들을 원 형태로 배열합니다. 이러한 배치는 계층적인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루트에서 리프까지의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13. Arc Diagram: Arc Diagram은 그래프의 노드와 엣지를 호 형태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엣지들은 호의 형태로 그려지며, 노드 간의 연결 관계와 엣지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Arc Diagram은 복잡한 그래프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특히 네트워크 분석이나 시퀀스 데이터 등에서 유용합니다.

  14. Chord Diagram: Chord Diagram은 원 주위에 노드를 배치하고, 노드 간의 연결을 호 형태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각 노드는 원 위에 위치하며, 노드 간의 연결은 호로 그려집니다. Chord Diagram은 주로 관계를 시각화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노드 간의 상호작용과 패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15. Sankey Diagram: Sankey Diagram은 흐름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노드와 엣지를 사용하여 원하는 흐름의 양을 시각적으로 나타냅니다. 주로 에너지, 자원, 정보 등의 흐름을 분석하고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양한 그래프 시각화 기법들

 

  • 몇 가지 예시로는 Parallel Coordinates, Heatmap, Scatterplot, TreeMap, Word Cloud, Heatmap, Word Cloud, Radar Chart, Network Map, Parallel Sets 등의 시각화 기법들이 있습니다:

  1. Heatmap: Heatmap은 행렬 형태의 데이터를 색상으로 표현하여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각 셀의 값을 색상으로 표시하여 데이터의 패턴이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로 데이터의 밀도, 상관 관계, 변화 등을 시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2. Word Cloud: Word Cloud는 단어의 빈도나 중요도를 텍스트 데이터에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단어의 빈도에 따라 크기나 가중치를 조정하여 시각화하며, 텍스트 데이터에서 주요한 단어나 키워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Radar Chart: Radar Chart는 다중 변수의 값을 다각형 형태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다각형의 각 꼭지점은 변수를 나타내고, 값에 따라 꼭지점 사이를 연결하여 다각형을 형성합니다. 이를 통해 각 변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나 비교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4. Network Map: Network Map은 그래프의 노드와 엣지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구조와 관계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노드는 엔티티를 나타내고, 엣지는 엔티티 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네트워크의 구성, 중요한 엔티티, 연결 패턴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5. Parallel Sets: Parallel Sets는 범주형 데이터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세로로 평행한 축을 사용하여 범주를 표현하고, 각 축에서의 교차점을 연결하여 상호작용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범주 간의 관계, 유사성, 차이점 등을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6. Treemap: Treemap은 계층적인 데이터를 사각형의 영역으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데이터의 계층 구조를 유지하면서 영역의 크기로 데이터 값을 나타냅니다. 주로 계층 구조를 가진 디렉터리 구조, 분류체계, 지리적 데이터 등을 시각화할 때 사용됩니다.

  7. Scatterplot: Scatterplot은 두 개의 변수를 x축과 y축으로 사용하여 데이터의 분포와 관계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각 데이터 포인트는 점으로 표시되며,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산점도로 나타냅니다. 데이터의 상관 관계, 분포 형태, 이상치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8. Tree Diagram: Tree Diagram은 계층적인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트리 형태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루트 노드에서 시작하여 자식 노드로 나뉘어지는 구조를 나타냅니다. 계층 구조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고, 각 노드의 크기나 색상을 활용하여 추가 정보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9. Bubble Chart: Bubble Chart는 세 개 이상의 변수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x축과 y축을 사용하여 데이터 포인트를 배치하고, 크기나 색상을 활용하여 추가 변수를 나타냅니다. 데이터의 다양한 변수 간의 관계와 패턴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10. Force-Directed Graph: Force-Directed Graph는 그래프의 노드와 엣지를 물리학적인 모델에 기반하여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노드들은 서로의 가까움과 연결 상태에 따라 상호작용하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배치를 찾아냅니다. 이를 통해 그래프의 구조와 연결 관계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11. Box Plot: Box Plot은 데이터의 분포와 이상치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최소값, 최대값, 중앙값, 사분위수 등을 활용하여 상자와 수염 형태로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중심 경향성과 분산, 이상치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12. Histogram: Histogram은 연속적인 데이터의 분포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데이터를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 속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막대 형태로 표현합니다. 데이터의 분포 형태, 중심 경향성, 이상치 여부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13. Parallel Coordinates: Parallel Coordinates는 다변량 데이터의 상호작용과 패턴을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각 변수를 수직 축으로 나타내고, 데이터 포인트를 수평선으로 연결하여 다차원 공간을 표현합니다. 변수 간의 관계, 클러스터 패턴, 이상치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14. Streamgraph: Streamgraph은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다중 변수를 쌓아 올린 영역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며, 각 변수의 변화량과 상대적인 비율을 시각적으로 나타냅니다. 데이터의 추이, 패턴, 변동성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15. Gantt Chart: Gantt Chart는 프로젝트의 일정과 작업들을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시간에 따른 작업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막대 형태로 표현하고, 작업들 간의 의존성을 나타냅니다. 프로젝트 일정, 작업의 진행 상태, 리소스 할당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16. Polar Chart: Polar Chart는 원 형태의 좌표계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각도와 반지름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냅니다. 데이터의 분포, 주기성, 상대적인 크기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7. Word Tree: Word Tree는 텍스트 데이터의 단어와 그들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루트 단어를 시작으로 가지 형태로 단어들이 분기되며, 단어 간의 관계를 시각화 합니다.

  18. Polar Area Diagram: Polar Area Diagram은 원형 그래프를 사용하여 범주형 데이터의 상대적인 크기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원 형태를 가지며, 각 범주에 해당하는 영역의 크기로 데이터의 상대적인 비율을 표현합니다. 범주 간의 비교, 전체적인 분포의 패턴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19. Network Graph: Network Graph는 노드와 엣지를 사용하여 복잡한 네트워크 상의 관계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노드는 개체 또는 요소를 나타내고, 엣지는 노드 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네트워크의 구조, 중요한 노드, 연결 패턴 등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20. Sunburst Chart: Sunburst Chart는 원형 그래프를 사용하여 계층적인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중심에서부터 외부까지 원형으로 구성되며, 부모-자식 관계를 가지는 범주들을 표현합니다. 데이터의 계층 구조와 각 범주의 상대적인 크기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21. Force Layout: Force Layout은 노드와 엣지의 물리적인 모델을 기반으로 그래프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노드들은 서로의 가까움과 연결 상태에 따라 상호작용하며, 시각화 과정에서 최적의 위치를 찾습니다. 그래프의 구조, 연결성, 군집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22. Bubble Map: Bubble Map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지도 상에 원 형태의 버블을 배치하고, 버블의 크기나 색상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값이나 특성을 나타냅니다. 지리적 분포, 밀도, 비교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23. Word Network: Word Network는 단어들 간의 연결 관계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단어를 노드로 나타내고, 단어 간의 연결을 엣지로 나타냅니다. 단어 간의 관련성, 동시출현, 유사성 등을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24. Polar Scatter Plot: Polar Scatter Plot은 원형 좌표계를 사용하여 두 개의 변수 사이의 관계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각 변수를 각도와 반지름으로 나타내어 데이터 포인트를 점으로 표현합니다. 변수 간의 상관 관계, 분포의 패턴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5. Slopegraph: Slopegraph는 두 개 이상의 변수 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시작점과 끝점을 연결하는 선분으로 표현되며, 변화의 크기와 방향을 시각적으로 나타냅니다. 변수 간의 비교, 변화의 추이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26. Circular Packing: Circular Packing은 데이터를 원형으로 배치하여 다양한 변수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데이터를 서로 겹치지 않도록 원 형태로 배치하고, 크기나 색상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변수를 나타냅니다. 다중 변수 간의 관계, 패턴, 상대적인 크기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27. Radar Polar Chart: Radar Polar Chart는 다변량 데이터의 값을 원형 좌표계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변수들을 각도로 나타내고, 값의 크기를 반지름으로 표현합니다. 변수 간의 상대적인 비교, 패턴, 이상치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8. Small Multiples: Small Multiples는 동일한 그래프 유형을 여러 개 생성하여 다른 변수나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각각의 작은 그래프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지만 데이터의 다른 측면을 나타냅니다. 다양한 변수의 비교, 변화의 추이, 상관 관계 등을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29. Calendar Heatmap: Calendar Heatmap은 달력 형태로 데이터의 패턴과 변화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각 날짜를 정사각형 셀로 표현하고, 색상을 사용하여 데이터 값을 나타냅니다. 날짜별 패턴, 계절성, 이상치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30. Hexbin Plot: Hexbin Plot은 산점도를 육각 그리드로 변환하여 데이터의 분포와 밀도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데이터 포인트를 육각형 형태의 바이닝(bin)으로 그룹화하고, 각 그룹의 밀도를 색상 또는 높이로 표현합니다. 데이터의 밀집 지역과 패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31. Network Matrix: Network Matrix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인접 행렬 형태로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노드를 행과 열로 표현하고, 노드 간의 연결을 행렬의 값으로 표현합니다. 네트워크 구조, 연결 강도, 군집 등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32. TreeMap Heatmap: TreeMap Heatmap은 계층적인 데이터를 트리맵과 색상을 활용하여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데이터의 계층 구조를 유지하며, 각 영역의 크기와 색상을 데이터 값에 따라 표현합니다. 계층 구조와 값의 상대적인 크기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33. Trellis Plot: Trellis Plot은 그리드 형태로 여러 개의 작은 그래프를 배열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그리드의 각 셀은 서로 다른 하위 집단 또는 조건에 해당하며, 각 셀 내의 그래프는 해당 조건에 따라 그려집니다. 다변량 데이터의 패턴과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34. Node-Link Diagram: Node-Link Diagram은 노드와 엣지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관계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노드는 개체나 요소를 나타내고, 엣지는 노드 간의 연결을 나타냅니다.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나 계층 구조, 데이터의 흐름 등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35. Violin Plot: Violin Plot은 Box Plot과 커널 밀도 추정을 결합한 형태의 시각화 기법입니다. 데이터의 분포를 바이올린 형태로 나타내고, 중앙값이나 분위수를 포함한 Box Plot 요소도 함께 표시합니다. 데이터 분포와 이상치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36. Matrix-based Visualization: Matrix-based Visualization은 노드와 엣지를 행렬 형태로 표현하여 관계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노드를 행과 열로 나타내고, 행렬의 값으로 엣지의 강도를 표현합니다. 행렬의 패턴과 값의 변화를 통해 노드 간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by chatGPT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