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pad에 블루투스 키보드를 연결했는데 Teams 든 카카오톡이든 한영 전환이 안 돼서 짜증이 날 때 해결방법은 의외론 간단함
-> 설정 --> 손쉬운 사용 --> 키보드 --> 전체키보드 접근 --> 끔!!

2. 매직마우스 1세대를 아직도 잘 사용 중인데
문제는 이것이 ipad와 연결 시 스크롤도 제스처도 아무것도 안 먹는다
그냥 일반 블루투스 마우스가 더 잘된다.
이유는 없음. 그냥 애플이 지원 안 함.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

존윅4 혼자보기

Un™Log 2023. 5. 13. 11:08

혼자 kt vip 멤버십 예약으로 늦은 저녁 존윅4를 보러갔다
이전 존윅 세계관과 액션을 좋아해서 기대하며 영화를 봤는데
10번 이상 졸고 옆에 여자분은 3/2정도 지나자 나가고
그래 액션은 주짓수와 건슈팅 반복
서사는 지루하고
일부러 늘린듯한 느린 진행 굳이 3시간 가까이 영화를 만든 이유를 모르겠다
중간에 의자를 박차고 나오고 싶었지만 라스트 계단씬과 결론을 보려 참았다
뭔가 아쉬움
존윅의 세계관과 액션 그리고 자유라는 설명을 하는 과정이 지루했다
존윅 시리즈중 최고라고 하던데 이전 3편이 더 좋았다
뭐 액션씬은 그래도 인정!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Graph DB)는 그래프 이론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그래프는 노드(Node)와 간선(Edge)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구조로, 다양한 객체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이러한 관계를 저장, 쿼리 및 분석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분석 방법 몇 가지입니다:

  1.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 분석에 유용합니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금융 거래 네트워크 분석, 도로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중심성(Centrality) 측정, 클러스터링, 커뮤니티 감지(Community Detection)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핵심 요소나 구조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추천 시스템(Recommendation Systems):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추천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관련성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나 관심사를 파악하고, 유사한 사용자나 아이템 간의 관계를 찾아 추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친구 추천, 온라인 쇼핑에서 상품 추천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3. 경로 탐색(Path Finding):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경로 탐색 문제에 효과적입니다. 두 노드 간의 최단 경로를 찾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교통 네트워크, 라우팅 시스템, 지리 정보 시스템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4. 영역 감지(Cluster Detection):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영역 감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래프의 노드들을 서로 다른 클러스터로 그룹화하고, 각 클러스터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 유전체 분석, 이미지 분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그래프의 구조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클러스터 간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5. 온라인 위협 탐지(Online Threat Detection):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위협 탐지에 유용합니다. 네트워크 보안, 사이버 공격 탐지 등에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이상 행위나 악의적인 패턴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간의 연결, 행동 패턴 등을 그래프로 표현하고, 이상 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위험 요소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6. 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지식 그래프 구축과 질의에 활용됩니다. 지식 그래프는 엔티티(개체) 간의 관계를 표현하여 지식을 구조화한 데이터입니다. 이를 통해 질의와 연결된 지식을 추론하고, 지식 그래프를 통해 복잡한 질의나 검색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추이 분석, 시계열 분석, 영향력 분석 등 다양한 분석 작업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간의 관계를 표현하고 다양한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인물이나 관련 시설의 이상 징후를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석 기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그 중 몇 가지 우수한 분석 기법에 대한 우선순위 설명입니다:

  1. 이상 탐지(Anomaly Detection): 이상 탐지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상한 동작, 행위, 패턴을 탐지하는데 유용한 기법입니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개체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고, 이상 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정상적인 네트워크 패턴과 다른 이상한 패턴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 거래 네트워크에서 도난 신용카드 거래를 탐지하거나, 소셜 미디어에서 악성 계정을 찾아내는 등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2. 중심성 측정(Centrality Measures): 중심성은 그래프에서 중요한 노드를 찾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인물, 시설 등의 중심성을 계산하면, 네트워크 상에서 어떤 개체가 다른 개체들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을 식별하거나, 교통 네트워크에서 핵심 도로나 교차로를 찾는 등의 분석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3. 커뮤니티 감지(Community Detection):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인물이나 관련 시설이 속한 커뮤니티를 감지하는 기법입니다. 커뮤니티 감지는 개체들 간의 밀집한 연결을 기반으로 비슷한 특성이나 역할을 가진 개체들을 그룹화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인물의 소속 그룹이나 관련 시설들의 집단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죄 네트워크 분석에서 범죄 조직의 구조를 파악하거나,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동일한 지역 내의 관련 시설을 그룹화하는 등의 분석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4. 경로 분석(Path Analysis):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인물이나 관련 시설 간의 경로를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분석 기법입니다. 경로 분석은 두 노드 사이의 최단 경로, 최장 경로, 다양한 경로 패턴 등을 탐색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특정 인물이나 시설과 관련된 다른 개체들 간의 상호작용이나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죄 조사에서 범인과 피해자 사이의 경로를 추적하거나, 건강 관리에서 질병 전파 경로를 분석하는 등의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5. 그래프 분류(Classification):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인물이나 관련 시설을 분류하는 기법도 유용합니다.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래프의 속성과 관계를 기반으로 개체들을 분류하고, 유사한 특성을 가진 그룹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회 네트워크에서 인물을 구성원 유형에 따라 분류하거나, 건물 네트워크에서 시설을 기능별로 분류하는 등의 분석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6. 예측 및 추론(Prediction and Inference):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인물이나 관련 시설에 대한 예측과 추론을 수행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래프의 구조와 속성을 기반으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누락된 정보를 예측하거나, 새로운 관계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사용자의 관심사를 예측하거나, 인물 네트워크에서 연결되지 않은 관계를 추론하는 등의 분석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 기법들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인물이나 관련 시설의 이상 징후를 탐지하고, 구조와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각 분석 기법은 데이터의 특성과 분석 목적에 따라 적절한 우선순위로 선택되어야 합니다.

그래프DB를 사용하여 이상 탐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분석 절차를 따를 수 있습니다:

  1. 데이터 모델링: 그래프DB에 데이터를 모델링하여 관계와 속성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인물과 관련된 노드와 각 노드 간의 연결 관계(친구, 동료, 가족 등)를 표현합니다. 또한, 각 노드와 연결된 속성(나이, 직업, 거주지 등)을 정의합니다.

  2. 정상 데이터 수집 및 특징 추출: 이상 탐지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프DB에서 필요한 특징을 추출합니다. 예를 들어, 각 노드의 중심성 지표, 이웃 노드와의 연결성, 속성 값 등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3. 이상 패턴 정의: 이상 탐지를 위해 정상 데이터에서 패턴을 분석하고, 이상 패턴을 정의합니다. 이상 패턴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조나 속성 값에서 벗어난 것으로 정의됩니다. 이상 패턴은 도메인 지식과 경험에 기반하여 정의될 수 있습니다.

  4. 이상 탐지 알고리즘 적용: 이상 탐지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적용합니다. 그래프DB에서는 그래프의 구조, 속성, 관계 등을 고려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그-기반 이상 탐지,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 그래프 분류 모델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이상 탐지 결과 표현: 이상 탐지 결과를 표현하여 분석자가 해석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래프DB에서는 이상 탐지된 노드나 연결 관계를 시각화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상 탐지된 인물의 중심성 지표를 강조하거나, 이상한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6. 모니터링 및 대응: 이상 탐지 모델을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탐지 결과를 확인합니다. 이상 탐지된 패턴이나 개체에 대해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조치를 취합니다. 예를 들어, 이상 탐지된 인물의 경우, 해당 인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추가적인 조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상 탐지 결과에 따라 보안 조치를 취하거나 해당 개체에 대한 추가 검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상 탐지를 위한 패턴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시로는:

  • 이상 점수(Anomaly Score): 각 개체의 이상 점수를 계산하여 탐지합니다. 예를 들어, 중심성 지표나 속성 값의 분포를 기반으로 개체의 이상 점수를 계산하고, 임계값을 설정하여 이상한 개체를 탐지합니다.

  • 그래프 패턴: 그래프의 구조적 패턴을 분석하여 이상을 탐지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개체와의 연결이 예상되는 패턴과 다른 연결이 나타나는 경우를 이상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 이벤트 시계열: 개체의 행동이나 상호작용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을 탐지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개체의 활동 패턴이 예상과 다른 경우를 이상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이상 탐지 결과는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그래프DB에서는 그래프 시각화 도구를 사용하여 이상 탐지된 개체를 강조하거나, 이상한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분석자는 이상 탐지 결과를 쉽게 이해하고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상 탐지 모델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어야 합니다. 새로운 데이터가 수집되거나 네트워크 구조가 변경되면 모델을 업데이트하고 성능을 평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상 탐지를 수행하고 보안 위협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상 탐지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고리즘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1. 로그-기반 이상 탐지(Log-based Anomaly Detection): 로그-기반 이상 탐지는 시스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로그 데이터의 패턴, 동작, 시간 간격 등을 분석하여 정상적인 동작과 다른 이상한 동작을 탐지합니다. 로그 데이터는 시스템 이벤트, 사용자 행동, 네트워크 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집될 수 있습니다.

  2.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Anomaly Score Calculation):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은 개체의 이상 정도를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개체의 특성, 속성, 행동 패턴 등을 기반으로 정상 상태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이상 점수를 할당합니다. 주로 확률 기반 알고리즘, 통계 기반 알고리즘, 기계 학습 기반 알고리즘 등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Z-점수, 사분위수, 평균 이동, KNN(K-Nearest Neighbors) 등이 이상 점수 계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그래프 분류 모델(Graph Classification Model): 그래프 분류 모델은 그래프 데이터에서 이상을 탐지하기 위해 기계 학습 기반 분류 모델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그래프 데이터의 노드, 엣지, 속성 등을 입력으로 하고, 정상 및 이상 클래스로 레이블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델을 학습시킵니다. 그래프 분류 모델은 주로 신경망 기반 모델인 그래프 컨볼루션 신경망(GCN, Graph Convolutional Network)이나 그래프 지능 모델(GNN, Graph Neural Network) 등을 활용합니다.

로그-기반 이상 탐지(Log-based Anomaly Detection)는 시스템 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상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시스템 로그는 소프트웨어, 서버, 네트워크 등 다양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와 상태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입니다. 이러한 로그 데이터는 시스템의 정상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분석하여 이상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로그-기반 이상 탐지(Log-based Anomaly Detection) 알고리즘은 다양한 방법과 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특성과 분석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습니다.  

 

로그-기반 이상 탐지에서 자주 사용되는 몇 가지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1. 로그 패턴 분석(Log Pattern Analysis): 로그 패턴 분석은 로그 데이터에서 정상 동작과 다른 이상한 패턴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로그 데이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시퀀스, 시간 간격, 이벤트 타입 등을 분석하여 정상적인 로그 패턴과 다른 이상한 패턴을 식별합니다. 주로 시계열 분석, 패턴 인식, 기계 학습 등의 기법을 사용합니다.

  2. 로그 클러스터링(Log Clustering): 로그 클러스터링은 로그 데이터를 클러스터로 그룹화하여 정상 클러스터와 이상 클러스터를 식별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로그 메시지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고, 비정상적인 클러스터를 탐지합니다. 주로 비지도 학습 기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예를 들면 K-means, DBSCAN 등을 사용합니다.

  3. 시계열 분석(Time Series Analysis): 로그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활용하여 이상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시계열 분석은 로그 데이터의 트렌드, 계절성, 이상치 등을 분석하여 정상적인 동작과 다른 이상한 동작을 식별합니다. 주로 이동 평균, 지수 평활법, ARIMA 등의 시계열 분석 기법을 사용합니다.

  4. 로그 기반 기계 학습(Log-based Machine Learning): 기계 학습 기반 로그-기반 이상 탐지는 로그 데이터에서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상 동작과 이상 동작을 구분하는 모델을 학습하는 방법입니다. 주어진 로그 데이터에서 다양한 특징, 예를 들면 로그 메시지의 키워드, 속성 값, 시간 정보 등을 추출하여 입력으로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기계 학습 모델, 예를 들면 결정 트리, 랜덤 포레스트, 신경망 등을 학습시켜 정상 동작과 이상 동작을 구분하는 분류 모델을 생성합니다.

이상 탐지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특성과 환경에 따라 선택되며, 성능 평가와 튜닝 과정을 거쳐야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로그 데이터의 전처리 과정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로그 메시지에서 중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로그-기반 이상 탐지는 시스템 모니터링, 보안 감사, 장애 예측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이상 동작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Anomaly Score Calculation)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은 개체의 이상 정도를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개체의 특성, 속성, 행동 패턴 등을 기반으로 정상 상태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이상 점수를 할당합니다. 다양한 알고리즘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합니다:

  1. Z-점수(Z-Score): Z-점수는 개체의 속성 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표준편차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점수입니다. 개체의 속성 값에서 평균을 뺀 후, 표준편차로 나누어 계산됩니다. 이상 점수는 Z-점수가 일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할당됩니다. Z-점수는 정규 분포를 가정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2. 사분위수(Q-Score): 사분위수는 개체의 속성 값이 전체 데이터의 분포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점수입니다. 주어진 데이터를 작은 값부터 큰 값까지 정렬한 후, 개체의 속성 값이 전체 데이터의 어느 사분위에 해당하는지를 계산합니다. 이상 점수는 사분위수가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할당됩니다.

  3. 평균 이동(Mean Shift): 평균 이동은 데이터 포인트가 주어진 범위 내에서 이동하면서 데이터 분포의 중심을 찾는 알고리즘입니다. 개체의 속성 값이 평균 이동으로 추정된 중심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계산하여 이상 점수를 할당합니다. 이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클러스터링과 이상 탐지에 널리 사용됩니다.

  4. KNN(K-Nearest Neighbors): KNN은 개체의 속성 값과 가장 가까운 이웃들을 기반으로 이상 점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주어진 데이터에서 개체의 속성 값과 가장 가까운 K개의 이웃을 찾고, 개체와 이웃들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이상 점수를 할당합니다. KNN은 이상치가 주변 이웃들과 거리가 멀거나 밀도가 낮은 경우에 높은 이상 점수를 할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특성과 분포에 따라 선택되며, 성능 평가와 튜닝을 통해 최적화될 수 있습니다.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은 개별 데이터 포인트의 이상 정도를 평가하므로, 이상 점수의 임계값 설정은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상 점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이상으로 분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또한, 알고리즘의 선택과 특징 추출 과정은 분석 대상 데이터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수치적인 속성을 가진 데이터에는 Z-점수와 사분위수를 활용할 수 있으며, 공간적인 패턴을 가진 데이터에는 평균 이동이나 KNN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의 성능은 정확도, 재현율, 정밀도 등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알고리즘의 튜닝을 통해 최적의 하이퍼파라미터를 찾고, 다른 알고리즘과의 비교를 통해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상 점수 계산은 단일 알고리즘으로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여러 알고리즘을 조합하여 종합적인 이상 점수를 계산하는 앙상블 방법이나, 시계열 데이터의 경우 시간적인 흐름을 고려한 알고리즘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은 이상 탐지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며, 데이터의 특성과 목적에 맞게 적절한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능 평가와 튜닝을 통해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다음은 JavaScript를 사용하여 로그-기반 이상 탐지의 예를 보여주는 간단한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Z-점수를 이용한 이상 탐지를 구현한 예제입니다:

// 로그 데이터 예시 배열
const logData = [
  { timestamp: '2022-01-01 10:00:00', value: 5 },
  { timestamp: '2022-01-02 10:00:00', value: 6 },
  { timestamp: '2022-01-03 10:00:00', value: 7 },
  { timestamp: '2022-01-04 10:00:00', value: 12 },
  { timestamp: '2022-01-05 10:00:00', value: 8 },
];

// 평균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Mean(data) {
  const sum = data.reduce((acc, curr) => acc + curr.value, 0);
  return sum / data.length;
}

// 표준편차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StandardDeviation(data, mean) {
  const squaredDiff = data.reduce((acc, curr) => acc + Math.pow(curr.value - mean, 2), 0);
  const variance = squaredDiff / data.length;
  return Math.sqrt(variance);
}

// Z-점수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ZScore(value, mean, stdDeviation) {
  return (value - mean) / stdDeviation;
}

// 이상 탐지 함수
function detectAnomalies(logData) {
  const mean = calculateMean(logData);
  const stdDeviation = calculateStandardDeviation(logData, mean);

  const anomalies = [];
  for (let i = 0; i < logData.length; i++) {
    const zScore = calculateZScore(logData[i].value, mean, stdDeviation);
    if (zScore > 2) {
      anomalies.push(logData[i]);
    }
  }

  return anomalies;
}

// 이상 탐지 실행
const detectedAnomalies = detectAnomalies(logData);
console.log('Detected anomalies:', detectedAnomalies);

위의 코드는 로그 데이터 배열을 가지고 Z-점수를 계산하여 이상 탐지를 수행합니다. Z-점수가 2보다 큰 경우를 이상으로 판단하고 해당 로그 데이터를 결과로 출력합니다. 예제에서는 로그 데이터에 'timestamp'와 'value' 속성이 있다고 가정하고, 'value' 속성을 기반으로 이상을 탐지합니다.

이 예제는 간단한 개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실제 상황에서는 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알고리즘을 수정하고 추가적인 전처리 및 튜닝을 수행해야 합니다.

 

JavaScript를 사용하여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아래의 예제는 간단한 이상 점수 계산 알고리즘을 보여줍니다:

// 로그 데이터 예시 배열
const logData = [4, 5, 6, 7, 2, 3, 8, 9, 4, 5, 10, 3, 4];

// 평균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Mean(data) {
  const sum = data.reduce((acc, curr) => acc + curr, 0);
  return sum / data.length;
}

// 표준편차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StandardDeviation(data, mean) {
  const squaredDiff = data.reduce((acc, curr) => acc + Math.pow(curr - mean, 2), 0);
  const variance = squaredDiff / data.length;
  return Math.sqrt(variance);
}

// 이상 점수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AnomalyScore(value, mean, stdDeviation) {
  const zScore = (value - mean) / stdDeviation;
  return Math.abs(zScore); // 절대값으로 변환하여 양수 값으로 표현
}

// 이상 점수 계산 실행
const mean = calculateMean(logData);
const stdDeviation = calculateStandardDeviation(logData, mean);

const anomalyScores = [];
for (let i = 0; i < logData.length; i++) {
  const score = calculateAnomalyScore(logData[i], mean, stdDeviation);
  anomalyScores.push(score);
}

console.log('Anomaly scores:', anomalyScores);

위의 코드에서는 주어진 로그 데이터 배열을 사용하여 각 데이터 포인트의 이상 점수를 계산합니다. 평균과 표준편차를 먼저 계산한 후, 각 데이터 포인트에 대해 이상 점수를 계산하여 결과를 배열에 저장합니다. 이상 점수는 Z-점수로 계산되며, 절대값으로 변환하여 양수 값으로 표현됩니다.

위의 예제는 간단한 개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상황에서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알고리즘을 수정하고 추가적인 전처리 및 튜닝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상 점수 계산은 데이터 분석의 일부로 활용되며, 결과를 활용하여 이상 탐지나 이상 포인트의 우선순위 결정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K-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s, KNN)은 이상 탐지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알고리즘입니다.

 

아래의 예제는 JavaScript를 사용하여 KNN 알고리즘을 구현한 간단한 코드입니다:

// 학습 데이터셋
const trainingData = [
  { x: 1, y: 1, label: 'Normal' },
  { x: 2, y: 1, label: 'Normal' },
  { x: 4, y: 3, label: 'Normal' },
  { x: 5, y: 4, label: 'Normal' },
  { x: 1, y: 5, label: 'Anomaly' },
  { x: 2, y: 5, label: 'Anomaly' },
  { x: 4, y: 2, label: 'Anomaly' },
  { x: 5, y: 1, label: 'Anomaly' }
];

// 테스트 데이터 포인트
const testData = [
  { x: 3, y: 2 },
  { x: 1, y: 3 },
  { x: 4, y: 4 },
  { x: 2, y: 2 }
];

// 거리 계산 함수
function calculateDistance(point1, point2) {
  const dx = point1.x - point2.x;
  const dy = point1.y - point2.y;
  return Math.sqrt(dx * dx + dy * dy);
}

// KNN 알고리즘 함수
function knn(k, trainingData, testData) {
  const results = [];

  for (let i = 0; i < testData.length; i++) {
    const distances = [];

    // 각 테스트 데이터와 학습 데이터 간의 거리 계산
    for (let j = 0; j < trainingData.length; j++) {
      const distance = calculateDistance(testData[i], trainingData[j]);
      distances.push({ distance, label: trainingData[j].label });
    }

    // 거리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K개의 이웃 선택
    distances.sort((a, b) => a.distance - b.distance);
    const nearestNeighbors = distances.slice(0, k);

    // 이웃들의 레이블 카운트
    const labelCounts = {};
    for (let j = 0; j < nearestNeighbors.length; j++) {
      const label = nearestNeighbors[j].label;
      if (labelCounts[label]) {
        labelCounts[label]++;
      } else {
        labelCounts[label] = 1;
      }
    }

    // 가장 많이 등장한 레이블 선택
    const sortedLabels = Object.entries(labelCounts).sort((a, b) => b[1] - a[1]);
    const predictedLabel = sortedLabels[0][0];
    results.push({ testData: testData[i], predictedLabel });
  }

  return results;
}

// KNN 알고리즘 실행
const k = 3;
const knnResults = knn(k, trainingData, testData);
console.log('KNN results:', knnResults);

위의 코드에서는 학습 데이터셋과 테스트 데이터 포인트를 사용하여 KNN 알고리즘을 실행합니다.

각 데이터 포인트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가장 가까운 K개의 이웃을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이웃들의 레이블을 카운트하여 가장 많이 등장한 레이블을 선택합니다. 이를 통해 테스트 데이터 포인트의 레이블을 예측합니다.

위의 예제는 간단한 개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상황에서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알고리즘을 수정하고 추가적인 전처리 및 튜닝을 수행해야 합니다. KNN 알고리즘은 이상 탐지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법 중 하나이며, 이를 통해 이상 포인트를 탐지하거나 이상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KNN 알고리즘에 의해 테스트 데이터 포인트의 예측 레이블이 출력됩니다. 예제에서는 'Normal'과 'Anomaly'라는 두 가지 레이블을 사용하였으며, 학습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테스트 데이터 포인트의 레이블을 예측합니다.

참고: 이 예제는 단순히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보다 복잡한 데이터와 문제에 적용하고, 필요에 따라 KNN 알고리즘을 수정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시계열 분석(Time Series Analysis)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다양한 시계열 분석 알고리즘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델을 JavaScript로 구현하는 예제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아래의 코드는 시계열 데이터를 로드하고 ARIMA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을 수행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csv = require('csv-parser');
const { ARIMA } = require('arima-js');

// 시계열 데이터 로드
function loadTimeSeriesData(filename)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const data = [];
    fs.createReadStream(filename)
      .pipe(csv())
      .on('data', (row) => {
        data.push(parseFloat(row.value));
      })
      .on('end', () => {
        resolve(data);
      })
      .on('error', (err) => {
        reject(err);
      });
  });
}

// ARIMA 모델을 사용하여 시계열 예측 수행
async function performTimeSeriesPrediction(data) {
  // ARIMA 모델 초기화
  const model = new ARIMA();

  // 모델 학습
  model.train(data);

  // 다음 값을 예측
  const nextValue = model.predict(1);

  return nextValue;
}

// 시계열 데이터 파일 경로
const filename = 'time_series_data.csv';

// 시계열 데이터 로드 및 예측 실행
loadTimeSeriesData(filename)
  .then((data) => {
    return performTimeSeriesPrediction(data);
  })
  .then((prediction) => {
    console.log('Next value prediction:', prediction);
  })
  .catch((error) => {
    console.error('An error occurred:', error);
  });

위의 코드는 csv-parser와 arima-js 패키지를 사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로드하고 ARIMA 모델을 초기화한 다음 학습시키고, 다음 값을 예측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예제에서는 CSV 파일 형식의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하며, 예측 결과는 콘솔에 출력됩니다.

실제로는 데이터 전처리, 모델 파라미터 튜닝, 예측 결과 평가 등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시계열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거나 ARIMA 모델을 확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제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상황에 맞게 코드를 수정하고 확장해야 합니다.

ARIMA 이외에도 다양한 시계열 분석 모델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Exponential Smoothing(지수 평활법) 모델을 JavaScript로 구현하는 예제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아래의 코드는 시계열 데이터를 로드하고 Exponential Smoothing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을 수행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csv = require('csv-parser');
const { ExponentialSmoothing } = require('simple-statistics');

// 시계열 데이터 로드
function loadTimeSeriesData(filename)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const data = [];
    fs.createReadStream(filename)
      .pipe(csv())
      .on('data', (row) => {
        data.push({ date: new Date(row.date), value: parseFloat(row.value) });
      })
      .on('end', () => {
        resolve(data);
      })
      .on('error', (err) => {
        reject(err);
      });
  });
}

// Exponential Smoothing 모델을 사용하여 시계열 예측 수행
async function performTimeSeriesPrediction(data) {
  // 데이터 포인트 추출
  const dates = data.map((point) => point.date);
  const values = data.map((point) => point.value);

  // Exponential Smoothing 모델 초기화
  const model = ExponentialSmoothing.simple(values);

  // 다음 값을 예측
  const nextValue = model.forecast(1);

  // 다음 날짜 계산
  const lastDate = dates[dates.length - 1];
  const nextDate = new Date(lastDate.getTime() + 24 * 60 * 60 * 1000); // 다음 날짜를 1일 뒤로 설정

  return { date: nextDate, value: nextValue };
}

// 시계열 데이터 파일 경로
const filename = 'time_series_data.csv';

// 시계열 데이터 로드 및 예측 실행
loadTimeSeriesData(filename)
  .then((data) => {
    return performTimeSeriesPrediction(data);
  })
  .then((prediction) => {
    console.log('Next value prediction:', prediction);
  })
  .catch((error) => {
    console.error('An error occurred:', error);
  });

위의 코드에서는 csv-parser와 simple-statistics 패키지를 사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로드하고 Exponential Smoothing 모델을 초기화한 다음 예측을 수행합니다. 예제에서는 CSV 파일 형식의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하며, 예측 결과는 콘솔에 출력됩니다.

 

실제로는 데이터 전처리, 모델 파라미터 튜닝, 예측 결과 평가 등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시계열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거나 Exponential Smoothing 모델을 확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예제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상황에 맞게 코드를 수정하고 확장합니다.

 

 

728x90
반응형

WRITTEN BY
bca (brainchaos)
언저리 - 블로그 = f UN + b LOG #BigData, #GrapDB, #Ani, #Game, #Movie, #Camping, 보드, 술먹고 떠들기, 멍때리기, 화장실에서 책읽기, 키스, 귀차니즘, 운동싫어, 버럭질 최고, 주경야독, May The Force be With You

,